티스토리 뷰
은행이 어떻게 돈을 버는가?
은행이 돈은 고객이 맡긴 예금을 필요한 사람에게 빌려준다
예금으로 받아들이는것 대출해주는것
대출 받을때 7-8%고
예금은 2-3%
2-3%가 은행의 마진이다.
은행수입 어떻게 해서 그 많은 사람들의 월급을 주고
그 좋은 자리에 임대료를 내고 생각해 보면
소비자가 은행의 살림살이를 위해 애를 쓰고 잇다.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주식회사이다.
은행의 국가기관이 아닌 주식회사이다.
왜 은행을 금융회사라고 하면 되지 금융기관이라고 불러야 되나
어른들부터 금융기관 언론이나 신문에서 써왓다.
은행이 만약에 무너진다면 금웅회사, 은행이 망하면
감독하고 감시하기 때문에 은행이 망하게 된다면
은행이 망할수도 잇다.
에전같으면 꿈도 꾸지 못하지만 은행은 작은 자금본이 10밖에 안되는데
사람들이 은행을 믿고 은행에 빌려준다.
10 자기자본 외에 90 -100정도의 돈을 사람들이 맡기기 때문에
은행의 자본구조이기 때문에 신뢰가 무너지면 굉장히 큰 어려움에 속한다.
그 회사가 갖는 이득
나의 유익함을 생각해 봐야 한다.
은행은 특수성 때문에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주식회사이다.
은행의 관한 두번째 궁금증
은행에서는 왜 적금보다 펀드에 가입하라고 권유를 하나?
분명 적금들려고 햇는데 펀드가 잇다.
적금 들겟다고 하는 손님한테 구지 펀드를 권유하는 이유는?
은행에서는 저금리기 때문에 수익을 많이 받아야 해서
그런 의도로 실제로 다른 이유가 몇가지 잇다.
예전처럼 금리가 높을때는 펀드와 적금은 무슨차이가 잇나?
지금은 금리가 낮아져서 2%가 줄어들고 잇다.
대출해 간사람이 부도가 나고 대출관리하는 사람을 먹여 살리다 보니
더 이익이 나오지 앟는다
이익은 고민이 되기 때문에 위험이 없고 부도나면 대출 상환도 줄이고
가능하면 우리는 끼워다 파는 수수료를 근거로 취급하고 싶다.
그게 바로 펀드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억 대출시 원리금 균등상환, 부담 얼마나 커지나? (0) | 2015.08.20 |
---|---|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되면? (0) | 2015.08.12 |
살기좋은 명품 주거타운으로 화곡동 주변 생활여건은? (0) | 2015.08.05 |
목숨보다 소중한 자녀, 목숨 다음으로 소중한 돈 (0) | 2015.08.04 |
전세값 정도로 내집 마련하는 방법 (0) | 201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