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녀가 아직 없다.
이 시기에 소득의 10% 정도를 개인연금에 가입하는게 좋겟다.
교육비가 부담이 적은 시기이다.
이정도 시기에 10% 연금을 준비하면 국민연금과 아울러 노후에 큰 도움이 될것이다.
아무래도 사회초년생이니까 전세를 아직 살고 잇어서 전세 언젠가는
주택자금을 늘려서 주택을 구입하든 주택을 구입안하시든
주택자금을 모아야 한다.
단기 목돈 마련에 저축의 70%를 쏟아부어야 한다.
주택자금을 위한 단기 목돈 마련에 70% 저축
1-2년은 적금 3년 이상은 적립식 펀드를 추천
이 4가지 원칙으로 포트폴리오를 짜자
연금에 대한 10% 얘기를 했는데 연금의 왜 10%를 해야 하느냐
세금관련문제때문에 그렇다.
연금같은경우에 국민연금은 세금과 관련이 없는데
실제로 지금은 세액공제를 받으나 나중에는 공적연금 외에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일반적인 개인연금 같은경우 1200만원 연금을 타면 종합소득세에
합산되는 경우가 잇다.
변액연금과 같이 나중에 돈을 탈때 비과세 연금을 10% 준비하는게 좋다.
맞벌이 부부의 돈관리는 어떻게 하는게 좋은가
정보는 공유하되 한사람의 컨트롤 타워를 두는 것이 중요하다.
통장나누기 실기 저축통장, 소비통장, 예비통장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두부부가 돈관리를 할때 서로 의견을 내다 보면 충돌도 잇고 마음이 잘
안맞는 경우도 잇다.
중요한것은 정보를 공유하되 한사람이 컨트롤 타워가 될 필요가 잇다.
6개월에 한번씩 컨트롤타워를 바꾸는게 좋다.
그 사람이 월급관리를 할때 화면을 보면 예비자금을 분리해서 각각의 돈을
나눠놓는 것도 중요하다.
예비자금통장은 월 고정비에 3개월치 현금 보유
70% 저축 30% 소비를 기준 저축을 시작
단기반복적 저축은 금리형, 중장기 저축은 투자형 추천
월 고정비에 3개월치정도의 현금은 항상 예비자금을 보유하고 잇어야 한다.
평상시보다 지출이 늘엇낫을때를 대비해서 만약에 저축을 어떻게 공격적으로 해야
하나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8억8천정도 자산이 9억정도된다. (0) | 2016.01.12 |
---|---|
주택연금의 지급 정지 사유 (0) | 2016.01.07 |
회사가 퇴직연금 도입중이다..나는 어떻게 하나? (0) | 2016.01.05 |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월세대출 2%이내 (0) | 2016.01.04 |
사회초년생 재테크 (0) | 2016.01.02 |